오늘 (8/31) 2시부터 6시까지 한국고등교육재단 해외유학장학생 면접이 있었다. 대부분의 학생들이 면접에서 합격하던 예년과 달리 50명 정도가 면접을 보고 이 중 30명 내외가 선발되는 만큼 면접의 중요성이 커졌다. 면접 절차에 있어서도 변화가 있었다. 여러명이 동시에 들어가 몇가지 질문에 간단히 대답하던 예전 전공면접과 달리 이번에는 한명씩 전공면접을 보게 되었다.

1시 40분까지 역삼에 있는 고등교육재단 건물에 모이게 되어 있었는데 나는 1시간 이른 12시 40분쯤 가장 먼저 도착했다. 지하 3층 홀에서 모였는데 입구와 강단 쪽에 면접자 명단과 면접 일정이 붙어있었다. 총 면접을 보는 인원은 대략 50명이었다. 문과와 이과가 3:2 정도의 비율이였고, 이과의 경우 각 분야별로 3명에서 5명이 선발되어 있었다. 나와 같은 CS 분야는 3명이 면접을 봤다.

나는 공교롭게도 가장 첫 전공면접자였고, 인성면접 시간도 3시 30분부터 4시까지로 가장 먼저 끝나는 일정이었다. 오래 기다리지 않아도 되고 일찍 집에 갈 수 있다는 생각에 괜히 기분이 좋았다. 시험장에서 차례를 기다리는 일만큼 심적 소모가 큰 일도 없는 것 같다.

2시에 관계자가 와서 면접에 대한 간단한 설명과 재단이 원하는 인재상에 대해 설명해주었다. 원래 면접 시작은 2시였지만 약간 지연되어 2시 반부터 시작했다. 가장 첫 전공 면접이었던 나는 제일 먼저 면접장으로 이동했다.

전공면접

전공 면접은 세 명의 교수님과 함께 진행되었다. 전체적으로 훈훈한 분위기에서 진행되었고 질문과 대답은 아래와 같았다. 면접관들이 편하게 대해줘서인지 시간이 굉장히 빨리 흘러간 것 같고 꽤 많은 질문에 대답했음에도 힘들지 않았다. 다른 사람들의 얘기를 들어보면 세세한 전공 교과 내용을 물어보면서 압박면접을 한 경우도 있다고 하는데 나는 석사 졸업이라 그런지 교과 내용은 질문하지 않았다.

  1. 자기소개와 유학을 결심한 이유에 대해 말해보세요.

    자기소개 석사, 전문연구요원 때 한 일.
    유학을 결심한 이유는 첫번째로 논문을 쓰고 컨퍼런스에서 발표하면서 다양한 research group을 만날 수 있었는데, 그들이 다채롭고 신선한 연구를 하는 것이 부러웠다. 다들 열린 마음으로 연구를 하는 것 같았다. 두번째로 전문연구요원을 하면서 독립적인 연구원으로서의 한계를 느꼈고 지식과 연구경험을 더 쌓아야겠다는 생각을 했다.

  2. KAIST 학생들은 열린 마음으로 연구를 하지 못하는 건가요?

    지도교수님이 자유롭게 연구 주제를 정하도록 장려하셨지만 학생들이 도제식 교육에 익숙하고 대다수의 연구실이 도제식으로 연구를 배우기 때문에 결국 비슷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런 점에서 미국의 연구 문화를 겪어보고 싶었다.

  3. 자기소개서에 개발에 강점이 있다고 하는데 정말 그런가요?

    어려서부터 열심히 공부해서 강점이 있다고 생각한다.

  4. 오픈소스에 참여하고 있나요?

    오픈소스를 활용하고 공부하고 있지만 오픈소스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지는 않다.

  5. 연구하고 싶은 주제는 무엇인가요?

    Large-scale image 를 활용하는 연구가 하고싶다. 석사 연구주제 설명.

  6. Large-scale image 를 활용한 연구에서도 application, infrastructure 등 다양한 level의 issue가 있을 텐데 어떤 부분을 연구하고 싶은가?

    석사때는 infra 부분을 연구했는데 이 부분을 더 연구한 후 발전된 기술을 가지고 application 도 연구해보고 싶다.

  7. 컨택한 교수님은 있나요?

    없다. SOP 쓰고 난 후에 컨택해보려고 한다.

  8. 가고싶은 학교는 어디인가요? 또 교수는 누구인가요?

    Stanford의 Vision 그룹

  9. 졸업 후 계획에 MS에서 포닥을 한고싶다고 되어있는데 왜 그런가요?

    MS의 Kinect와 Hololens를 보면서 이 기업이 정말 미래를 내다보고 앞서나가는 기술을 연구한다고 생각했다. MS에서 미래를 내다보는 비전을 확인하고 연구에 참여해보고 싶다.

  10. 공부와 연구도 중요하지만 우리 사회에 나눔도 매우 중요합니다. 사회에 기여하고 나누는 것에 대해서는 계획이 있거나 실천하고 있나요?

    교육에 관심이 많아 후배들을 가르치는 일과 KOI, ICPC 스태프로 대회 운영을 돕고 있다. 앞으로도 이런 일을 계속 하고싶다.

인성면접

인성면접은 예정시간보다 30분 늦어진 4시에 시작했다. 나는 같은 CS 면접자, 생명과학 면접자와 함께 면접을 봤다. 나는 6명 중 5번째 자리에 앉아 있어서 다른 사람들의 답변을 듣고 생각한 후 말할 수 있어고, 덕분에 편한 마음으로 짧게 요약해 얘기할 수 있었다. 인성면접 역시 세 분의 교수님과 함께 면접이 진행되었다. 시간이 지연되서인지 면접을 굉장히 서두르셨는데, 한 질문에 대해 각자 1분씩만 얘기해도 6분이 지나가기 때문에 면접자들은 얘기할 기회도 별로 없었지만 금방 30분을 채우고 끝마쳤다.

처음에는 모두에게 짧은 자기소개와 한국고등교육재단에 지원한 이유를 물어보셨다. 그 후에는 각자에게 영어성적, 필기시험 성적, 학점 중 약한 부분에 대해 지적하고 어떻게 해결할 것인지 물어보셨다. 이어서 면접자들의 서류를 바탕으로 사소한 질문을 하셨다. 마지막으로 모두에게 요즘 미국에 남으려는 사람이 많은데 미국에서 공부한 후 한국으로 들어올건지 물어보셨다. 대부분 한국에 돌아오고 싶다는 답변을 하면서 인성 면접을 끝마쳤다.

이미 어느정도 학생들에 대한 파악과 장학생 선발에 대한 토론이 이루어졌고, 최종 결정을 위해 고민되는 면접자에 대해 더 깊게 알고 싶어하는 것 같았다. 면접에서 합격할 사람과 떨어질 사람을 결정해야 하는만큼 교수님께서 생각하는 학생의 약점에 대한 대안이 있는지를 확인하셨던 것 같다.

마무리

면접 합격자 발표는 내일 9/1에 바로 확인할 수 있다고 한다. 만약, 합격한다면 9/11~9/12 1박 2일간 워커힐호텔에서 워크샵을 한다고 하는데 워크샵이 기존의 오리엔테이션을 대체한다고 한다. 경쟁이 생각보다 더 치열할 것 같아 걱정이지만 합격하기를 바라며 결과 발표를 기다려야겠다.


Written with StackEdit.

블로그 이미지

영운

새로운 시작을 준비하며

,

한국고등교육재단 필기시험의 결과가 시험 일주일 뒤인 오늘 5시에 발표되었다. 지난주 전공 필기 시험에서 실수로 꽤 많은 문제를 틀려 걱정했는데 다행이도 결과는 합격이었다. 5시 30분 쯤 면접에 대한 간단한 안내 메일도 왔다. 혹시나 발표가 미리 나지 않을까 계속 들어가서 확인했는데 정확히 5시에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필기 결과 발표 바로 다음날인 내일 2시부터 6시까지 면접이 진행된다. 예년과 달리 면접 대상자 수가 늘어 면접에서 다수가 떨어질 수 있을 것이라는 메일이 왔다. 복장도 반드시 정장차림이어야 한다. 대학원장학생 면접때는 여러명이 함께 들어가 자기소개, 관심 연구분야 소개, 비전 설명, 기타 질의응답이 있었는데 이번에는 면접도 두 개로 나눠져 있어 훨씬 깊이있는 면접이 될 것 같다.

유학을 위한 첫 관문인 만큼 떨지말고 잘 얘기해 꼭 붙었으면 좋겠다. 내일 면접을 보고나면 모레 바로 최종 결과가 발표되니 함께 후기를 올려야겠다.


Written with StackEdit.

블로그 이미지

영운

새로운 시작을 준비하며

,

2016년 9월 미국 박사 유학을 목표로 준비 중이다. 희망 전공 분야는 Computer Science (CS) 중에서도 computer vision과 computer graphics를 융합하는 새로운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연구이다. 대부분의 학교가 9월 중에 admission을 시작하고, 12월 초가 마감이므로 실질적으로 유학을 준비할 기간은 3 달 남짓 남았다. 최근들어 경쟁이 엄청 치열해진 탑스쿨 CS 유학을 목표로 시작한만큼 남은 기간을 계획적으로 보내야 할 것 같다.

지금까지의 이력을 되짚어 보면 KAIST 전산학과에서 학부와 석사를 마치고 ETRI에서 전문연구요원으로 군복무 중이다.

학부

2007학번으로 KAIST에 입학해 전산학과를 전공, 수학과를 부전공 했다. 프로그래밍 경시대회인 ACM-ICPC에서 2008년, 2009년 각각 4등, 1등을 했고, 두 차례 세계대회에 진출했으나 결과는 좋지 않았다. 2009년 세계대회가 봄학기 시험기간과 겹쳐 한 학기를 휴학했지만 다른 학기에 많은 과목을 수강해 4년을 마치고 졸업했다. 학과 성적은 3.9/4.3 정도로 뛰어나진 않지만 나쁘진 않은 정도이다. 이 외에 동아리 활동과 해외 봉사활동, 중고등 영재 교육 조교 등의 과외 활동이 있었다.

석사

2011학번으로 KAIST 석사를 진학하였다. 공부에 대한 열의는 있었지만 박사과정에 대해 확실히 몰랐기에 바로 유학을 시도하지 않고 자대 석사로 진로를 결정했다. 석사는 computer graphics 연구실에 있었지만 주로 computer vision 분야인 image retrieval 가속 관련 연구를 수행하였다. 1년차에 박사 선배의 CVPR 논문에 2저자로 참여하였고, 2년차에는 ACCV 에서 논문을 발표했다. 이 두 논문은 후에 SCI 저널인 TPAMI, CVIU에 투고되었다. 석사과정 동안 한국고등교육재단의 정보통신대학원 장학생으로 선발되어 지원을 받았다.

전문연구요원

석사과정을 통해 연구에 뜻을 가지게 되었고, 더 좋은 환경에서 연구하고자 유학을 결심했다. 따라서 병역을 해결해야 했고, 복무기간은 3년으로 길지만 연구와 공부를 병행할 수 있는 전문연구요원으로 군복무를 대체하기로 결정했다. 전문연구요원으로 복무 중인 ETRI 에서는 과제 종료기간과 맞물려 연구보다는 개발에 치중하였고, 결국 2년 반동안 연구는 거의 하지 못했다. 주로 증강현실, 가상현실에 관한 기술과 서비스를 개발하였다. 지금도 전문연구요원으로 복무 중이며 2016년 3월에 만료될 예정이다.

준비 현황

과제 평가로 인해 4월까지 바쁘다가 5월부터 본격적으로 유학 준비를 시작했다. 가장 필요한 GRE와 TOEFL 성적을 얻기 위해 해커스 GRE 학원을 한 달간 다녔다. 그 후 독학을 하며 GRE 1회, TOEFL 2회를 치뤘고 GRE는 V152/Q170/W3.0 이며 TOEFL은 97점이다. 10월까지는 영어공부를 병행해 GRE는 V160/Q170/W4.0, TOEFL은 100점까지 도전해볼 계획이다. 현재 한국고등교육재단 (KFAS)와 삼성장학회의 해외유학장학생에 신청해놓은 상태며 서류 및 필기시험 결과를 기다리고 있다. 영어 성적이 낮기 때문에 장학생 선발에 어려움이 있을 것 같지만 일단 지원해 보았다.

계획

8월에 31일이면 한국고등교육재단 장학생 선발이 끝나고 10월 중순에 삼성장학회 장학생 선발이 끝나기 때문에 당분간은 장학생 선발과 영어성적에 집중해야 할 것 같다. 9월부터 짬짬이 SOP를 쓰기 시작해야 11월까지 몇 번의 퇴고를 거치고 만족스럽게 제출할 수 있을 것 같다. 지원학교는 5개 ~ 10개 정도로 집중하려고 하는데 이는 최근에 유학을 준비한 사람들의 조언도 얻어야 할 것 같다. 유학을 준비하면서 올해 함께 유학을 준비하는 사람들과 추후에 유학을 준비할 사람들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마음에 준비과정을 글로 남겨보려 한다. 다만 몇명이라도 이 글을 읽고 그들의 결정과 준비에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Written with StackEdit.

블로그 이미지

영운

새로운 시작을 준비하며

,